C++/Theorem

[C++] 타입

달의요정루나 2021. 7. 3. 14:18

1. 변수

- 정의

1)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는 메모리 공간

2)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, 저장한 값을 변경 가능하다.

- 종류

정수형 변수: char, int , long, longlong

실수형 변수: float, double

- 변수 생성 규칙

1) 이름은 [영문자, 대소문자, 숫자,  _ ]으로 구성

2) 숫자로 시작하지 않는다.

3) 이름 사이에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.

4) C++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된다.

4) 변수 이름의 길에 제한은 없다.

 

- 변수 예시 문

#include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 {
	int number_1 = 10; //변수이름은 number_1이다.
    int number_2 = 20; //변수 이름은 number_2이다.
    //int 3number = 30; //이렇게 선언하면 오류가 난다.
    //int num ber_4 = 40; //공백이 존재하면 안된다.
    //int main = 50; //이미 c++에서 정의된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된다.
    
    cout << "number_1의 숫자는 " << number_1 << 이다. <<endl;
    cout << "number_2의 숫자는 " << number_2 << 이다. <<endl;
}

2. 상수

- 정의

1) 변수처럼 데이터를 저장한다. 그러나 변수와 달리 저장한 데이터는 변경이 안된다.

 

- 리터럴 상수: 변수와는 달리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은 가지고 있지 않음.

1) 정수형 리터럴 상수

- 123, -456처럼 숫자의 부호로 표현

- cout 객체는 dec(10진수), hex(16진수), oct(8진수) 조정자 제공

#include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
{
	int a = 10;
   	cout << "10진수 : " << a << endl;
    
    cout << oct; //8진수
    cout << "8진수 : " << a << endl;
    
    cout << hex; //16진수
    cout << "16진수 : " << a << endl;
}

2) 실수형 리터럴 상수

- 부호 소수점 방식으로 저장

#include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
{
	float line1 = 3.14;
    cout << "값 " << line01 << endl;
}